계속 Github 명령어를 헷갈려서 이참에 기본 명령어들을 정리하려고 한다.
...
1. Git 영역
(1) Working directory (Local) : 코드를 수정하는 영역
(2) Staging Area : git add를 통해 수정된 코드를 올리는 영역
(3) .git directory (Repository) : git commit을 통해 Repository에 제출

2. Git 기본 설정
git --version # 설치 및 버전 확인
# 사용자 정보 설정
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John Doe"
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johndoe@example.com
# 설정한 모든 정보 확인
git config --list
3. 프로젝트 시작하기
git init # git이 해당 폴더를 관리하도록 설정
git status # 변경사항 확인
git add <파일/디렉토리 경로> # 해당 파일만 Staging Area로
git add . # 현재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을 Staging Area로
git commit -m "Commit Message"
git log # 커밋 변경사항 확인
4. Github 시작하기
git push # 원격 저장소인 레포로 반영
git pull # 원격 저장소의 데이터를 로컬 저장소에 최신화
git clone [REPO_URL] [DIR] # 이미 초기화된 원격저장소를 복제해와서 개발해야 하는 경우, clone 명령어를 활용하여 복제해올 수 있음.
반응형
SMALL