❗️이 포스팅은 인프런의 [스프링 입문 -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, 웹 MVC, DB접근 기술] 강의를 정리한 내용입니다.❗️
[무료] 스프링 입문 -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, 웹 MVC, DB 접근 기술 - 인프런 | 강의
스프링 입문자가 예제를 만들어가면서 스프링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전반을 빠르게 학습할 수 있습니다., 스프링 학습 첫 길잡이! 개발 공부의 길을 잃지 않도록 도와드립니다. 📣 확인해주세
www.inflearn.com
[스프링 입문기 1] 프로젝트 환경설정
준비
- Java 17 설치
- IntelliJ 설치
스프링 프로젝트 생성
https://start.spring.io/ : 스프링 부트 스타터

- Project : Gradle - Groovy
- Spring Boot : 3.1.2 (SnapShot이라고 되어 있는 것은 아직 정식 출시가 안 된 버전을 의미)
- Language : java
- Java : 17
- Dependencies : Spring Web(웹 기반 프로젝트), Thymeleaf(템플릿 엔진 중 하나) 추가해주기
-> 하단에 Generate 버튼 눌러주기
-> 다운받은 폴더를 압축 풀기해주기
-> 폴더 안에 있는 build.gradle 파일을 IntelliJ에서 열어주기
폴더 계층 살펴보기
1. src 폴더
- main 폴더와 test 폴더로 나누어져 있음.
- main 폴더 : java 폴더 / resources 폴더(실제 자바 코드를 제외한 xml, html파일이나 설정 파일이 포함)
- test 폴더 : test code가 들어 있음. (요즘 개발 트렌드에서는 Test code가 매우 중요하다.)
2. .gitignore
- git에는 딱 필요한 소스코드만 올라가야 함.
- build된 결과물 등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관리해주는 파일.
3. build.gradle 파일
- 초기 설정한 version이나 dependencies 내용이 들어 있는 파일.

Spring Boot 실행해보기
- src -> main -> hello -> hellospring -> HelloSpringApplication 파일
- main 함수 실행 (왼쪽에 초록색 run 버튼 클릭)
반응형
SMALL
'Computer Science > 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스프링 입문기 5] 스프링 웹개발 기초 (0) | 2023.08.03 |
---|---|
[스프링 입문기 4] 빌드 및 실행하기 (0) | 2023.08.03 |
[스프링 입문기 3] Welcome 페이지 만들기 (0) | 2023.08.01 |
[스프링 입문기 2] 라이브러리 살펴보기 (0) | 2023.08.01 |